티스토리 뷰

반응형
Designed by Freepik

 
 
하루에도 몇 번을 오르고 내리는 주가의 변동성을 '전설로 떠나는 월가의 영웅' 피터린치의 6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내가 투자한 기업은 어느 유형에 속하는지 살펴보기로 해요.  
 
 

1.  저성장주 

성숙한 대기업주식으로 보통 GNP보다 약간 빠른 정도로 성장하는 기업입니다. 과거 업종의 호황으로 인해 가파른 성장을 하다 이 업종이 전반적으로 침체하면서 성장의 탄력을 잃어버린 기업으로 주가의 움직임이 완만하고 넉넉한 배당금을 줍는게 특징입니다.

 
※ GNP(Gross National Product): 국민총생산으로 한 나라 국민이 일정 기간 동안 생산한 모든 최종생산물과 서비스의 시장가치의 합을 나타냅니다.
 

 

 

2. 대형우량주 ( 경기방어주 )

주가가 민첩하게 상승하지는 않아도 저성장주보다는 빠르게 성장하는 기업입니다. 경기의 변동에 비교적 안정적으로 대응하는 주식으로 투자 시 연평균 10~12% 정도의 주가상승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경기와 상관없이 소비해야만 하는 사업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경기 민감주보다 상승률이 낮고 하락할 때 상대적으로 하락폭이 작아 일정비율로 포트폴리오에 넣어주면 좋습니다.
때때로 매수시점에 따라 대형우량주도 상당한 이익을 낼 수 있습니다. 주로 알만한 대기업들로 이루어져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전력, 가스, 철도, 의약품, 식료품, 주류, 금융, 헬스케어 등이 여기에 속합니다.
 
 
 
 
 

3. 고성장주

연 20~30% 성장률을 보이는 기업입니다. 상대적으로 규모가 작고 신생기업들이 많이 속해있습니다. 당연한 이야기지만 고성장주는 상대적으로 위험성 또한 높습니다. 기업의 성장성이 높은 만큼 기업에 투자되는 자금이 많다는 의미로 성장성이 높아도 기업 내 자금이 부족해 파산하는 경우도 발생되기도 하니 고성장주에 투자할 때는 세심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기업의 성장은 영원할 수 없으니 언제 이성장이 멈출지 대략적인 파악이 필요합니다.
이런 고성장주의 특징은 매출성장성이 높아도 순이익은 상대적으로 낮을 수 있습니다. 기업이 한창 성장하는 시기엔 기업의 이익보다도 매출 성장성이 커지는 패턴을 보입니다. 미래에 대한 기대감으로 주가가 조금씩 상승하다 매출이 흑자로 돌아서는 때에 크게 상승합니다.
 
 
 

 

4. 경기순환주 (=경기민감주)

 
회사의 매출과 수익이 예측 가능한 방식으로 일정하게 오르내리는 특징이 있습니다. 경기민감주는 경기의 상황에 매우 민감하게 반응하는 주식으로, 경기 호황 시에는 성장을 보이고 경기 침체 시에는 타격을 받는 경향이 있는 주식을 가리킵니다. 투자비용이 많고 재고가 필요한 산업이 이에 속합니다. 이런 경기순환주는 대기업 또는 이름만 대도 알만한 회사들이기 때문에 대형 우량주와 혼동하기 쉬우니 주의해야 합니다. 막연히 대기업이기에 안전하다고 생각하고 투자했다가 손쉽게 돈을 날리게 되는 대표적인 주식 유형이기 때문이죠.
경기침체기를 벗어나는 시점에 주가상승폭이 대형우량주보다 빠르게 상승하지만 침체된 경기를 버티지 못하면 기업이 파산위기까지 가기도 하니 경기의 흐름에 민첩해야 합니다. 
대표적으로 자동차, 철강, 항공, 호텔, 운수, 석유화학, 건설, 정보기술, 반도체이 여기에 속합니다.
 

 

 

5. 회생주

기업의 실적과 주가가 망가질 대로 망가진 기업으로 파산가능성도 있는 기업입니다. 파산위기에서 벗어나게 되면 바닥을 찍은 주가가 빠르게 회복하는 특징이 있습니다. 회생주들의 주가가 상승하게 되면 시장 상황에 크게 좌우되지 않는 특징이 있습니다. 하지만 파산위기까지 간 기업들 중에 내가 투자할 기업을 찾는다는 건 큰 위험이 따르니 주식입문자나 초보자들은 피해야 하는 종목입니다.
회생주 투자 시 회사의 부채비율이 어떻게 되는지 추가 자금 동원 능력은 있는지 현금보유액은 얼마나 되는지를 꼼꼼히 살펴보고 투자여부를 결정해야 합니다.
 

 

 
 

6. 자산주

 
기업의 대표 이익 외에 주가나 재무제표에는 반영되지 않은 값나가는 자산을 보유한 기업을 말합니다. 대표적으로 부동산과 지적재산권등이 여기 속합니다. 
예를 들어 맥도널드는 햄버거 가게이지만 전 세계에 있는 수천 개의 매장 덕분에 엄청난 부동산자산주이기도 합니다.
디즈니 또한 애니메이션을 만드는 회사지만 엄청난 자본력으로 부동산부터 애니메이션, 영화 등 엄청난 양의 지적재산권을 보유하고 있다.
 
 
 
이상으로 6가지의 유형에 대해 살펴봤는데요. 기업의 유형은 고정되지 않고 계속 바뀌게 되어있습니다. 현재 내가 투자한 기업이 이 6가지 유형중 어느 유형에 속하는지 파악해 보고 주가의 흐름을 판단하다는데 유익한 도움이 되셨길 바래요.  🚩
 

반응형